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프로그래머스 배열 회전시키기
- Programmers 배열의 유사도
- 프로그래머스 가위바위보
- 가위바위보 풀이
- BigO notation
- 춥고 더운 우리 집
- 프로그래머스 특정 문자 제거하기
- 리트허브 커밋
- 슈츠 자막
- 개발자 취준
- 리트허브 오류
- 비지니스 레이어
- 파이썬 특정 문자 제거하기
- 배열의 유사도 파이썬
- programmers 배열 회전
- 공선옥
- 파이썬 컬렉션
-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 leftJoin
- 프로그래머스 가위바위보 풀이
- 프로그래머스
- 리트허브 사용법
- 프로그래머스 배열의 유사도 파이썬
- 특정문자 제거하기
- 스프링 시스템 구조
- 춥고더운우리집
- 알고리즘
- 주니어개발자
- 2-layered architecture
- collection python
Archives
- Today
- Total
기억보다 기록을
[Spring/Server] stateless, stateful 그리고 http 통신(Get, Post, Put, Delete) 본문
Development/Spring
[Spring/Server] stateless, stateful 그리고 http 통신(Get, Post, Put, Delete)
juyeong 2023. 1. 7. 17:24반응형
자바 소켓 통신에서 포트끼리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 때 http 통신을 사용한다.(http1.1)
http 1.1 통신은 일종의 약속이다.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한 방법 4가지가 있다. Get, Post, Put, Delete 메소드이다.
쉽게 그림으로 표현해보자.
http 통신은 필요할 때마다 요청하고 끊는 타입을 사용하는데, 이를 stateless 라고 한다. 한번의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지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결을 끊어 서버의 부하를 막는다. 다음 그림의 B는 A,C,D의 요청으로 바쁘고 부하가 생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끊임없이 연결된 상태를 stateful이라 하는데, 채팅처럼 계속해서 연결되어야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http는 기본적으로 문서전달을 위해 만들어졌는데 요즘은 http 통신을 통해 많은 활동을 (다양한 mime 타입을 생각해보자) 하고있다. 만약 이때 한번의 요청/응답 후 연결을 끊으면, B 서버는 A,C,D가 내가 아는 클라이언트인지, 믿을 수 있는지 등의 정보를 어디서 얻을까? 어떻게 믿고 / 기억할 수 있을까? 스프링에선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해 세션을 만든다. 세션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클라이언트/서버 연결에서 서버가 데이터를 응답해줄 준비가 되었다는 뜻이다. 즉, 인증된 상황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형
'Development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웹 프로젝트 구현(6) 프레젠테이션 계층 구현/테스트/get과 post/post로 등록처리 (0) | 2022.02.24 |
---|---|
[Spring] 웹 프로젝트 구현(5) 비즈니스 계층 crud 구현/테스트 (0) | 2022.02.24 |
[Spring] 웹 프로젝트 구현(4) 테이블 생성,더미데이터 추가,영속계층 crud 구현 (0) | 2022.02.24 |
[Spring] 웹 프로젝트 구현(3) myBatis 연결, 왜 xml을 써야할까, xml처리,log4jdbc (0) | 2022.02.22 |
[Spring] 웹 프로젝트 구현(2) JDBC,커넥션 풀(HikariCP) 연결,HikariCP를 왜 쓸까? (0) | 202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