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contracts and some technical Features. 스마트 컨트랙트와 비트코인/이더리움의 기술적 특징
Smart Contracts
Smart Contracts stored in block chain.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 속해있다고 보면 된다.
킥스타터(an American public benefit corporation based in Brooklyn, New York, that maintains a global crowdfunding platform focused on creativity.)라는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를 생각해보자. 이 플랫폼은 생산자와 후원자를 연결한다.
생산자와 후원자는 모두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가정이다.
만약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한다면 킥스타터같은 third-party없이 비슷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권리가 분산되고 immutable 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에서 불법적인 변경이나 조작은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컨트랙트에서의 조작도 어렵다고 본다. 은행의 경우 대출이나 자동이체에 적용할 수 있고 보험사나 우체국 등 어디서든 스마트 컨트랙트는 사용 가능하다.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이 기술을 사용할 것인지부터 고민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이더리움이 있는데, 이더리움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Solidity 언어로 프로그래밍된다. 물론 비트코인도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는데 이더리움보다 기능이 부족하다 한다. 여기까지 알아보며 궁금했던건
1) 크라우드 펀딩 회사는 어떻게 현 상황을 대처하는가?
-> 블록체인과 크라우드 펀딩 회사의 결합이 꽤 오래전부터 진행됐다.
아래 글은 2019년도 글이지만 크라우드 펀딩회사가 어떻게 블록체인과 결합을 시도해왔는지 잘 정리되어 있다.
https://brunch.co.kr/@kyungwonyi0/11
블록체인 금융의 미래와 크라우드펀딩
접점을 찾는 자가 정점에 오른다 | 비트코인의 첫번째 블록인 제네시스 블록/블록#0이 생성된지 벌써 10주년이 되었다고 한다.(2009년 01월 03일 생성) 아직까지도 일반인들에게 활성화된 디앱(블록
brunch.co.kr
2) 러시아나 북한에서 블록체인으로 불법적 행위를 저지른 것이 이슈가 됐었는데 과연 어떻게 뚫었을까(?) 얘네가 사용한 기술이 궁금하다.
->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모네로를 사용해서 다크코인화했다. 가지가지..하네...ㅎㅎ!
https://www.newsmc.net/news/articleView.html?idxno=59553
북한은 왜 암호화폐에 집착할까 - 뉴스메카
[뉴스메카=유효준 기자] 최근 수년째 이어지는 유엔의 대북제재와 코로나19로 인해 북한의 경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가운데, 북한이 암호화폐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제
www.newsmc.net
Technical Features_Bitcoin and Ethereum and smart contracts.
1) Cryptography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같은 cryptographic을 가진다. 완전히 identical 한 것은 아니고, 이더리움의 경우 two merkle tree, 비트코인 has one merkle tree로 차이가 있다.
2) Decentralized Network Consensus
3) Transaction Script & UTXO
두번째 탈중화된 네트워크 합의의 경우 현재 인터넷(web2)가 가지고 있는 문제(data privacy가 지켜지지 않는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세번째 트랜잭션 스크립트의 경우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in essence, a transationc ledger. 본질적으로 거래 원장임을 말한다.
자료를 찾다보면 기술적 관점과 좀 더 개괄적인 시점에서 바라본 글이 혼용되어 나오는데, 이 두가지가 계속해서 노출되는 것에는 이유가 있는 것 같다. 뭐든지 직접 개발을 해봐야 잘 체감될 것 같아서 다음엔 실전연습으로 넘어가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