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배열의 유사도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가위바위보
- 리트허브 오류
- 춥고 더운 우리 집
- 리트허브 커밋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배열 회전시키기
- 가위바위보 풀이
- collection python
- leftJoin
- 비지니스 레이어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취준
- 공선옥
- 춥고더운우리집
- 2-layered architecture
- 스프링 시스템 구조
- programmers 배열 회전
-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 프로그래머스 가위바위보 풀이
- 프로그래머스 특정 문자 제거하기
- 리트허브 사용법
- 특정문자 제거하기
- 프로그래머스 배열의 유사도 파이썬
- 파이썬 특정 문자 제거하기
- 주니어개발자
- Programmers 배열의 유사도
- BigO notation
- 파이썬 컬렉션
- 슈츠 자막
- Today
- Total
기억보다 기록을
[JPA] N+1 문제 간단하게 정리 본문
멋지고 꼼꼼하게 글을 쓰고 싶지만 .. 그렇게하면 자꾸 미룰 것 같아서, 내가 나에게 알려주는(?) 용도로 기록한다.
# N+1 문제가 무엇이냐면
아주 간단히 말하자면 쿼리가 날아갈 때
기존 쿼리에 의해 다른 쿼리도 N번 날라가서 ,
원래 날리려던 쿼리(1) 에 N번의 쿼리도 추가로 실행되는 문제가 생긴다.
저는 멤버만 조회하려 했는데요 갑자기 멤버가 속한 팀도 우후죽순 카타시안 곱처럼 (정확한 비유 아님) 짠하고 나왔어요
그럼 어떤 문제가 생기냐면. 디비에서 값을 내려서 실행할 때 최소한의 데이터를 받아야하는데
데이터가 와르르맨션처럼 몰려와서 서비스: 나 무거워 내 성능 힘들어 상태가 된다.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 fetch join 사용
2. @batchsize 어노테이션 사용
3. DTO 만들어서 네이티브 쿼리 짜버리기
3가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1. 페치 조인
우선 페치가 뭔지부터 알아보자. fetch = take 라고 생각하면 쉽다
조인해서 결과를 가져오는데, 객체 그래프에 있는 쿼리를 사악 훓어서 가져오는 거다.
조인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이, 즉 쿼리를 여러번 덧붙일 필요 없이 한번의 쿼리로 데이터를 싸아아아악 가져온다.
JPA 로딩 타입중 eager 전략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렇게 하면 N+1 문제의 대부분은 해결 가능
단점은 이렇게 가져온 데이터의 페이징은 안된다
2. @batchsize
엔티티 클래스내에서 자식 엔티티 사악 훓어서 가져오려고 각잡을 때
다 가져오지말고 n개만 가져와
라고 지정한다.
3. DTO 만들어서 네이티브 쿼리 짜기
바쁠 땐 가장 익숙하고 빠른 방법으로 .. 근데 개인적으로 이렇게 쓰여진 코드를 보면
DTO의 목적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물론 내가 초보라서 그럴 가능성 99)
주석에 이 dto가 왜 생성된건지 어떤 목적으로 쓰인것인지 적혀있지않으면
JPA 기반의 프로젝트에선 빠른 파악이 어려웠던 기억이 난다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git 연동 후 푸시하기 Push to github from vscode. (0) | 2022.03.18 |
---|---|
[vscode] code로 열기가 뜨지 않을 때 해결방법 (0) | 2022.03.17 |
[Database] RDBMS와 NoSQL, trigger 사용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