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머스 특정 문자 제거하기
- 공선옥
- 가위바위보 풀이
- 춥고더운우리집
- 프로그래머스 배열의 유사도 파이썬
- 배열의 유사도 파이썬
- leftJoin
- 파이썬 특정 문자 제거하기
- 파이썬 컬렉션
- 개발자 취준
- programmers 배열 회전
- 비지니스 레이어
- 슈츠 자막
- 춥고 더운 우리 집
- collection python
- 주니어개발자
- 프로그래머스 가위바위보
-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 리트허브 오류
- 2-layered architecture
- 프로그래머스
- BigO notation
- Programmers 배열의 유사도
- 프로그래머스 가위바위보 풀이
- 스프링 시스템 구조
- 리트허브 커밋
- 알고리즘
- 리트허브 사용법
- 특정문자 제거하기
- 프로그래머스 배열 회전시키기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Programmers (16)
기억보다 기록을
배열 뒤집기는 1. sorted(list_name, reverse=True) 2.list_name.reverse / return list_name 3.list_name[::-1] 세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1번 정렬은 뒤집으면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순수하게 배열을 뒤집기를 바라면 2,3을 사용해야합니다 def solution(num_list): num_list.reverse() return num_list
Q. 약수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인 수를 합성수라고 합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이하의 합성수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Sourc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46 처음 직관적으로 생각한 방법은 n에서 소수의 개수를 빼는 것이었다 -> 전체를 순회하기보다 제곱근+1의 값까지 체크하여 소수여부를 판별한뒤 (성능,속도면에서 전체를 체크하는 것보다 제곱근까지만 체크하는 것이 빠르기 때문) -> 전체개수에서 소수의 개수를 빼서 리턴하자 import math def solution(n): isPrime = 0 for i in range (1, int(math.sqrt(n)) ..
sourc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53 result 를 빈 리스트로 선언하고, pop 함수의 특징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풀 수 있다. def solution(s): result = [] for i in s.split(' '): if i == 'Z': result.pop() else: result.append(int(i)) return sum(result)

source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921
sourc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69 1. sorted() 사용 def solution1(spell, dic): for d in dic: if sorted(d) == sorted(spell): return 1 return 2 2. set 사용 (if not x 참고: https://thecoollife.tistory.com/20 ) def solution2(spell, dic): spell = set(spell) for d in dic : if not spell - set(d): #0이면 return 1 return 2
sourc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94 1. 딕셔너리와 정규표현식 사용 import re def solution1(numbers): s = '' d = {'zero':'0', 'one':'1', 'two':'2', 'three':'3', 'four':'4', 'five':'5', 'six':'6', 'seven':'7', 'eight':'8', 'nine':'9'} #findall()-정규식과 매칭되는 모든 문자열을 리스트 형식으로 리턴 findall(r'패턴문자열', 문자열) for i in re.findall(r'(zero|one|two|three|four|five|six|seven|eight|nine)',nu..
sourc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35 idea: list comprehension , lambda 1. list comprehension def solution1(emergency): sorted_emergency = sorted(emergency, reverse = True) return [sorted_emergency.index(i) + 1 for i in emergency] 2. lambda def solution2(emergency): sorted_emergency = sorted(emergency, reverse = True) return list(map(lambda x: sorted_emergency...
sourc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913 자바에서 정규표현식은 보통 이메일이나 전화번호와 같은 값을 객체에 저장할 때 사용했는데, 구글링하면 정리된 자료가 많아 대부분 긁어서 사용했습니다. 파이썬의 정규표현식 중 메타언어가 뭔지, f-string이 뭔지 추가로 알 수 있어서 좋았던 문제입니다. 1.f-sting, 정규표현식 사용 import re def solution(my_str, n): p = re.compile(f'.{{1,{n}}}') return p.findall(my_str) 2. list comprehension 사용 def solution2(my_str, n): return [my_str[i: i + ..